본문 바로가기
육아

[37개월~48개월]내 아이 언어 실력 쑥쑥! 만 3세~4세 언어 발달 특징과 실천 가이드

by kulovebh 2025. 6. 12.
반응형

만3세에서 4세 언어발달

37개월(만 3세)부터 48개월(만 4세)까지의 아이들은 언어 능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기로, 매일 새로운 단어를 배우고 복잡한 문장을 구사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 기술을 확장합니다. 이 시기 부모의 역할은 아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고 효과적인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 37~48개월 아이의 언어 발달 특징

1. 어휘력의 폭발적 증가

  • 800~1,500개의 단어를 구사하며 하루 평균 6~10개의 신조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 "행복하다", "속상하다" 등 추상적 감정 표현이 가능해지고, "가장 크다", "더 빠르다" 같은 비교급 사용합니다.

2. 문장 구조의 복잡화

  • 3~7단어로 구성된 문장 사용(예: "엄마, 나 오늘 공원에서 친구랑 놀았어")할 수 있습니다.
  • 접속사("그리고", "그래서")를 이용해 두 문장을 연결(예: "밥 먹고 그래서 놀러 갈 거야")할 수 있습니다.
  • 과거형("했어"), 미래형("할 거야") 등 시제 사용이 정교해집니다.

3.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 질문의 다양화: "왜 하늘은 파랄까?" 같은 추상적 질문 증가합니다.
  • 상황에 맞는 대화: 전화 놀이 시 "여보세요? 엄마 계세요?" 등 맥락 이해할 수 있게됩니다.
  • 감정 표현: 화남, 기쁨 등 5~6가지 감정을 언어로 설명 가능해집니다.

4. 발음과 언어 이해

  • 초성 자음(ㄱ, ㄷ, ㅂ) 90% 정확도 달성, 복자음(ㄲ, ㄸ)은 50% 정확도를 가집니다.
  • "앞", "뒤", "사이" 등 공간 개념 이해 및 "가장 큰 것" 같은 최상급 언어를 구사합니다.

🛠️ 보모가 실천할 수 있는 7가지 언어 촉진 전략

1. 확장 대화법

  • 아이의 단문을 문장으로 확장:
    아이: "차 요!" → 보모: "차를 타고 싶구나! 어디로 갈까?".
  • PEER 기법 적용:
    Prompt(유도) → Evaluate(평가) → Expand(확장) → Repeat(반복).

2. 역할놀이를 통한 상황별 언어 훈련

  • 병원 놀이: "어디가 아프세요?" "약을 드릴게요" 등 역할에 맞는 대화 유도.
  • 가게 놀이: "이거 얼마예요?" "감사합니다" 같은 경제적 소통 연습.

3. 감정 코칭

  • 감정 라벨링: "친구가 장난감을 뺏어서 속상했구나".
  • 감정 카드 활용: 표정 그림을 보며 "이 사람은 기쁠까? 슬플까?" 질문.

4. 책 읽기 전략

  • 예측 질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
  • 해석 질문: "왜 여우가 울고 있을까?".
  • 표현 유도: 아이가 스스로 이야기 만들게 권유.

5. 일상 속 언어 자극

  • 슈퍼마켓에서: "이 사과는 빨간색이고, 저 배는 녹색이네!".
  • 계단 오르며: "한 계단, 두 계단! 몇 개나 있을까?".

6. 음운 인식 활동

  • 라임 게임: "방울→개울→거울" 같은 운율 맞추기.
  • 첫소리 찾기: "바나나의 첫소리는 ㅂ!".

⚠️ 언어 지연 신호와 대응법

주의해야 할 증상

  • 3세: 3단어 이상 문장 미사용, 간단한 지시 이해 불가.
  • 4세: "왜" 질문 미흡, 동화 줄거리 이해 어려움.

대응 전략

  • 반응적 상호작용: 아이의 관심사를 따라가며 대화.
  • 놀이 치료: 언어발달 전문가와의 역할놀이 병행.
  • 시각적 보조: 그림 일과표로 일상 표현 훈련.

📚 효과적인 교구 추천

  1. 감정 표현 카드: 10가지 표정과 해당 감정 단어.
  2. 접속사 주사위: "그래서", "하지만" 등이 적힌 주사위로 문장 게임.
  3. 소리 탐정 키트: 주변 소리를 듣고 설명하는 활동 세트.

이 시기 아이들은 "왜?"라는 질문 300회 이상/일을 하며 언어적 호기심을 표출합니다. 보모는 아이의 질문에 인내심 있게 답변하고, 일상적 상호작션을 의도적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식사 시간에 "오늘의 최고 음식은?"이라고 묻거나, 산책 시 "구름이 어떤 모양 같아?"라고 질문하면 상황별 어휘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언어 발달은 단순히 말하기를 넘어 사고력과 사회성의 기반이 되므로, 놀이와 일상을 연결한 통합적 접근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반응형